2025/07/26 2

덴마크 플렉시큐리티 제도, 고용과 복지를 동시에 잡다

덴마크 플렉시큐리티 제도의 개념과 탄생 배경 덴마크의 플렉시큐리티(Flexicurity) 제도는 '유연성(Flexibility)'과 '안정성(Security)'을 결합한 북유럽 고용 정책 모델이다. 1990년대 초 유럽의 실업 문제와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해법으로 주목받으며 발전하였다. 당시 덴마크는 기업의 고용 유연성 확보와 동시에 실업자에 대한 강력한 사회 보장 제도를 구축하여 노동시장 활성화를 도모하였다. 덴마크 정부는 고용주의 해고를 법적으로 자유롭게 허용하면서도, 해고된 노동자에게는 충분한 실업 급여와 재취업 교육을 제공하였다. 이는 노동자의 불안감을 덜어주는 동시에 기업의 구조조정 효율성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플렉시큐리티는 덴마크가 지속적으로 낮은 실업률과 높은 노동시장 참여율을..

복지 2025.07.26

노르웨이 국민 연금, 석유 수익으로 복지를 지탱하다

노르웨이 국민연금과 석유펀드의 설계 노르웨이는 세계에서 가장 모범적인 연금 시스템을 가진 나라로 평가된다. 그 중심에는 석유 자원을 활용한 정부연금기금(Government Pension Fund Global, GPFG)이 있다. 일반적으로 노르웨이 국부펀드 또는 석유펀드라 불리는 이 기금은 1990년대 초반 북해 석유 개발 수익을 미래세대를 위한 공공 자산으로 보존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국부펀드의 구조는 단순한 자산 축적이 아니다. 노르웨이 재무부가 기금을 소유하고, 중앙은행 산하의 전문 기구인 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NBIM)가 기금을 운용한다. 기금은 석유 판매로 발생한 흑자를 곧바로 적립하고, 투자 수익을 통해 복지에 필요한 재정을 공급한다. 현재 GPFG는 세..

복지 2025.07.26